우주항공분야 전문가 50여 명 참여
재사용 로켓ㆍ민간 진출 등 환경 급변
“인력 정책 변화, 대학 협력 등 중요”
우주항공산업의 성공을 뒷받침하기 위해 국회와 민관산학 전문가가 총망라된 포럼이 창립된다. 각계 전문가들은 입법, 정책 지원과 함께 중소기업 지원 방안을 마련해야 건강한 우주 산업 생태계를 조성할 수 있다고 입을 모았다.
10일 서천호 국민의힘 의원실과 한국항공우주산업진흥협회는 ‘우주항공산업발전포럼’ 창립총회를 개최했다.
이 포럼은 범국민적인 우주항공산업 대응과 입법ㆍ정책 거버넌스 실현을 위해 마련했다. 한국항공우주학회장을 지낸 김종암 서울대 교수과 권진회 경상국립대 총장, 강구영 한국항공우주산업(KAI) 사장 등 50여 명의 국내 우주항공분야 전문가들이 연구위원으로 참여했다.
이날 창립총회에서는 서 의원과 곽신웅 국방우주학회장(국민대 교수), 강 KAI 사장을 공동대표로 선출했다.
서 우주항공산업발전포럼 공동대표는 “세계 각국이 우주항공산업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전략적 투자를 확대하고 있다”며 “우리나라 우주산업이 2040년까지 세계 시장점유율 10%를 달성하면 연 144조 원의 새로운 시장을 창출하고, 우주항공 일자리는 2023년 2만 명에서 2045년 50만 명으로 늘어나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진 주제 발표에서는 권 경상국립대 총장이 ‘우주항공산업 발전 방향 제언’을 주제로 다양한 의견을 제시했다.
최근 재사용 로켓 등장과 민간기업 진출로 우주항공산업의 환경이 급변하고 있다. 우주 발사체 발사 비용은 1981년만 하더라도 ㎏당 5만1800달러에 달했지만 2022년에는 35배가량 저렴한 kg당 1500달러로 감소했다. 2040년에는 ㎏당 100달러 수준으로 감소할 전망이다. 낮아진 발사비용으로 대량 위성 발사 시대가 도래하면서 저지구궤도(LEO) 위성 서비스 시장도 확대되고 있다.
권 경상국립대 총장은 “나라별로 우주 발사체의 LEO 수송 능력은 미국 스페이스X의 스타쉽이 150톤(t), 중국 창정 9호는 140톤에 달한다”며 “이에 반해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는 1.5톤 수송에 그친다. 하지만 이는 우리가 발전해 나갈 여지가 많이 있다는 의미”라고 말했다.
민간 기업이 주도하는 우주항공산업 개발을 활성화하기 위해 정부는 재정적 지원을 강화하고, 공공 수요를 창출해 민간 수요를 촉발하게 시켜야 한다. 이를 통해 지속 가능한 산업 생태계를 구축할 수 있다.
권 경상국립대 총장은 “민간이 사업성 있는 분야를 발굴하고 대규모 투자를 집행해야, 앞서 나가 있는 국가들을 따라잡을 수 있다”며 “단기간에 미국을 따라잡고 싶어 하면서, 예산을 투입하지 않고 구호만 외치면 안된다”고 했다.
권 총장은 중소기업이 살아있는 건강한 우주항공 생태계를 조성하기 위해 △인력 정책의 변화 △기술 정책의 변화 △대학 협력 강화 등 세 가지 비전을 제시했다.
권 경상국립대 총장은 “고용 창출 위주 정책이 아니라 중소기업 재직자 위주로 인력 정책을 바꿔야 한다”며 “우주항공부품연구원 등 중소기업 기술지원전문기관 설립이 필요하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