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상장한 전 종목(29개)이 희망 공모가 범위의 상단 또는 초과한 가격에 형성했다. 특히 희망밴드 상단에 공모가를 확정한 그리드위즈와 HD현대마린솔루션을 제외하고는 27개 종목(93.10%)의 공모가가 희망밴드 상단을 넘어선 가격이다.
심지어 5월 코스닥에 상장한 민테크는 공모 희망밴드 상단(8500원)보다 76.47% 높은 가격(1만5000원)에 공모가를 형성한 뒤, 현재 공모가 대비 14% 넘게 내림세다. 제일엠앤에스도 공모가 희망밴드 상단(1만8000원)보다 33.33% 높은 가격(2만2000원)에 공모가를 확정했지만, 현재 공모가보다 39% 넘게 떨어진 상태다.
이처럼 공모가가 높게 책정된 데는 많은 기관투자자들이 상장 예정 기업과 상장 주관사(증권사)가 희망하는 공모가보다 더 높은 가격을 제시해서다. 통상 기업이 상장할 때 공모가는 기업이 상장 주관사와 함께 적어낸 희망 가격과 기관투자자가 적어낸 희망 가격을 통해 결정된다.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공모가 대비 57% 가까이 상장한 올해 상장한 종목 중 가격이 가장 크게 하락한 아이씨티케이는 총 2113건의 기관투자자의 수요예측 참여가 이뤄졌다. 그런데 이 중 2086건(98.72%)이 공모가 희망밴드 상단을 초과한 가격을 제시했다. 열에 아홉은 공모가 희망밴드보다 비싼 가격을 제시한다는 의미다. 아이씨티케이의 공모가는 희망밴드 상단(1만6000원)보다 25% 높은 가격(2만 원)에 확정됐다.
공모가보다 47%가량 하락한 포스뱅크도 총 2104건의 수요예측 참여 중 2067건(98.24%)이 희망밴드 상단 초과를 제시했다. 가격을 제시하지 않은 29건을 제외하면 희망밴드 하단 가격을 제시하거나 하단 미만 가격을 제시한 경우는 없었다. 포스뱅크는 희망밴드 상단(1만5000원)보다 20% 비싼 1만8000원에 공모가를 확정했다.
문제는 희망 공모가격을 높게 제시한 기관투자자가 정작 의무보유확약에는 인색하다는 것이다. 공모가를 최대한 높여 주식을 확보한 뒤, 상장 후 이른 시일 내에 매도하려는 경우가 많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앞서 언급된 아이씨티케이도 대다수의 기관 투자자가 밴드 상단을 초과한 가격을 희망 공모가로 제시했지만, 정작 의무보유확약을 한 비중은 5.11%에 불과했다. 2113건 중 미확약이 2005건에 달했다. 오상헬스케어는 미확약 비중이 92.31%에 달했다.
한 금융투자업계 관계자는 “공모주 열풍에 한 주라도 더 받고자 희망 가격을 높여 제시하는 기관투자자의 상황도 난감하기는 할 것”이라면서도 “의무보유확약 없이 상장 초반 비싼 값에 팔아치우는 방식이 반복되면 결국 피해 보는 건 물량을 떠안는 개미들”이라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