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급실 파견 군의관도 “근무 못하겠다”...자진 복귀 속출

입력 2024-09-06 19:56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전국 곳곳에서 응급실 운영이 파행하는 가운데 4일 서울 한 대형병원 응급의료센터 인근에서 의료진이 이동하고 있다. 정부는 이날 군의관 등 보강 인력을 긴급 배치했다. (사진제공=연합뉴스)

정부가 응급실 인력 부족으로 운영에 차질을 빚는 병원에 군의관을 파견하고 있지만, 이들이 응급실 진료에 부담을 호소해 파행이 지속되고 있다. 의료계에서는 전문의 자격을 취득한 군의관이라고 해도 임상 경험이 풍부하지 않아 부담스러워하는 것으로 보고 있다.

6일 연합뉴스에 따르면 이대목동병원, 아주대병원, 세종충남대병원에 파견된 군의관 모두 현장에서 근무할 수 없다는 판단에 따라 모두 업무를 중단한 채 돌아갔다. 군의관들이 응급실 진료는 어렵다는 의사를 표한 데 따라 병원 측이 복귀 조치를 통보했고, 이들은 이날부터 출근하지 않고 있다.

아주대병원에서도 응급실에 2명, 마취과에 1명이 배치됐으나 현장에서 근무할 수 없다는 의사를 밝혔다. 파견 군의관 2명이 모두 응급의학과 전문의인 세종 충남대병원에서도 군의관들이 모두 복귀했다.

의료계에서는 의사마다 전공에 따라 진료할 수 있는 환자 범위가 다르고, 의료사고 발생 시 책임 소재도 파견된 군의관들이 응급실 진료를 꺼리는 이유로 거론된다. 이미 군의관과 공보의를 받은 현장에서도 실효성에 의구심을 표한다.

정부는 우선 '부족한' 인력을 지원하는 데 의미가 있다는 입장이다.

배경택 보건복지부 건강정책국장은 “현장에서 의료 인력이 부족하기 때문에 정부가 가용할 수 있는 인력을 지원하는 게 효과가 없지는 않을 것”이라며 “응급실에서 근무하든, 배후진료를 돕는 형태이든 현장에서는 분명히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복지부는 군의관·공보의 파견이 현장에서 실효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국방부와 함께 업무 가이드라인 등을 만들 예정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