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멘트 업계는 범정부 차원의 건설시장 활력 제고 방안의 필요성에 공감하고 자재별 수급 안정 협의체 구성·운영 결정을 환영했다. 다만 시멘트 수입 허용 방안에 대해서는 우려하는 분위기다.
한국시멘트협회는 2일 정부가 발표한 ‘건설산업 활성화를 위한 건설공사비 안정화 방안’에 대해 “건설산업의 경영위기는 후방에서 시멘트를 공급하는 시멘트 업계에도 심각한 타격”이라며 협의체 구성에 공감했다.
협회는 “정부가 협의체를 구성하고 운영하기로 한 것에 대해 적극 환영하며, 이를 계기로 건설산업이 빠른 기간 내에 활력을 되찾고 주요 자재산업의 경영여건도 개선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시멘트 업계는 시멘트 수급 안정에 최선을 다할 방침이다. 협회는 “출하 설비 개선, 물류 인프라 확대 등 지속적인 투자와 시스템 개선을 추진하는 한편, 관계 부처·유관 기관과의 적극적인 소통과 협력을 통해 시멘트 수급 안정에 최선의 노력을 기울여 나갈 것”이라고 약속했다.
협의체에서는 시멘트 업계의 다양한 현실을 반영해 포괄적인 논의가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협회에 따르면 건설 생태계의 중요 구성원인 시멘트 산업은 갈수록 심화하는 위기상황에 직면해 있다.
업계는 건설 경기의 극심한 침체로 올해 수요는 약 4400만 톤(t) 수준으로 예상돼 IMF 외환위기 첫해의 수요절벽(약 4630만 톤)을 뛰어넘는 감소세가 될 것으로 전망한다. 또 재고까지 급증하며 심각한 이중고를 겪고 있다는 주장이다. 온실가스 감축 목표 달성, 질소산화물 배출 규제 등 강화되는 환경규제 준수를 위해 필요한 설비 확충에도 막대한 비용이 든다.
협회는 “이번 협의체가 건설산업 활성화 위주의 ‘핀셋 해법’을 넘어 건설과 연계된 산업 생태계 전반을 진단하고 위기 극복을 위한 ‘포괄적 해법’ 등을 논의하는 것은 물론 양 산업간 이해와 소통을 확대하는 계기가 마련되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다만 시멘트 업계는 시멘트 수입 지원안에 대해서는 우려를 표했다. 정부는 이번 방안을 통해 시멘트 수급 불안으로 민간이 중국 등에서 시멘트 수입을 추진한다면 항만 내 저장시설 설치 절차를 단축하고 내륙 유통기지를 확보하는 등 지원에 나서기로 했다.
한 업계 관계자는 “중국 생산 설비는 국내의 50배 수준인데 중국도 건설 경기 침체로 어려움을 겪는 상황에서 우리가 문호를 개방하면 모두 밀고 들어올 것”이라며 “국내 시멘트 산업이 무너질 수 있다”고 짚었다. 국내 시멘트 업계가 망하고 나면 중국의 자재 가격 인상에 대응하는 게 불가능해질 수 있다는 우려다.
시멘트 가격을 두고 빚어진 건설 업계와 시멘트 업계의 갈등은 이어질 전망이다. 건설 업계는 시멘트 원료인 유연탄 가격의 하락 등을 이유로 시멘트 가격 인하를 요구하고 있다. 반면 시멘트 업계는 유연탄 가격은 안정화됐으나 전기요금이 인상돼 원가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커지는 등 가격 인하 요인이 부족하다는 입장이다. 또 사상 초유의 출하 급감과 환경 설비 투자 비용 증가로 업계의 부담이 커지고 있다는 주장이다.
협회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시멘트 출하는 전년 동기 대비 약 13% 감소한 2274만 톤, 재고는 약 16% 증가한 126만 톤으로 집계됐다. 업계 성수기에 해당하는 지난달 국내 수요는 전년 동월 대비 30% 가까이 줄어든 것으로 추정한다.
설비투자 비용은 2021년 4226억 원, 2022년 4469억 원, 2023년 5683억 원으로 지속해서 증가하고 있다. 올해는 설비투자 계획 6076억 원 중 5892억 원을 이미 집행한 상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