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서울·경기·인천) 아파트값의 올해 누적 상승률이 11%를 넘어섰다.
20일 한국부동산원 통계에 따르면 수도권 아파트 매매가격은 올해 1~7월까지 누적 11.12% 급등했다. 정부 공인 시세조사 기관인 부동산원이 2003년 12월부터 관련 통계를 집계한 이래 이 기간 누적 상승률이 두 자릿수를 기록한 건 올해가 처음이다.
수도권 아파트값은 1~7월까지 매달 1% 넘게 상승했다. 지난 1월 1.12% 상승을 시작으로 2월 1.71%, 3월 1.40%, 4월 1.33%, 5월 1.21%, 6월 1.53%, 7월 1.64%를 기록했다. 7개월 연속으로 매달 1% 이상의 상승률을 기록한 것도 이번이 처음이다.
지역별로는 서울(4.33%), 경기(14.17%), 인천(15.65%) 모두 지난해 연간 상승률을 이미 넘어섰다. 작년에도 아파트값이 크게 뛰었는데 올해 상승세는 이보다 더 매서운 셈이다.
부동산원 통계 기준으로 보면 수도권 아파트값이 가장 많이 올랐던 시기는 지난 2006년(24.24%)이다. 당시 판교, 위례 등 2기 신도시 개발 호재와 다주택자 양도소득세 중과로 똘똘한 한 채 선호 현상이 불면서 아파트값이 급등했다. 강남3구(강남·서초·송파구)와 목동·분당·평촌·용인, 이른바 버블세븐 중대형 아파트를 중심으로 아파트값이 크게 뛰었다.
박원갑 KB국민은행 수석부동산전문위원은 "당시 버블세븐 지역을 중심으로 재건축·랜드마크 아파트값이 급등했다면 올해는 상대적으로 덜 상승한 소외지역 중심으로 가격이 오르고 있다"며 "탈서울 내 집 마련 수요가 크고 교통개발 호재도 맞물린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문제는 아파트 매수 심리가 전국적으로 강해지고 있다는 점이다. 부동산원의 이번 주(16일 기준) 전국 아파트 매매수급 지수는 108.2로 5주(106.2→107.7→107.8→107.8→108.0→108.2) 연속 오르고 있다.
매매수급지수는 부동산원의 회원 중개업소 설문과 인터넷 매물 건수 등을 분석해 수요와 공급 비중을 지수화한 것이다. '0'에 가까울수록 공급이 수요보다 많고, '200'에 가까울수록 수요가 공급보다 많음을 의미한다. 기준선인 100을 넘어 높아질수록 매수심리가 강한 것으로 해석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