팬데믹 원격근무 줄면서 다시 수도권에 몰려
일자리 선택지 부족한 지방 매력 갈수록 줄어
수도권 쏠림, 재해 대비 어렵다는 문제도
31일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에 따르면 도쿄도에서 전입자가 전출자를 웃도는 ‘전입 초과’ 인구가 지난해 3만8023명으로 전년 대비 7배 늘었다. 해당 인구가 늘어난 것은 3년 만이다.
도쿄도와 가나가와현, 사이타마현, 지바현 등 수도권 전입 초과 인구는 9만9519명으로, 전년보다 1만7820명 증가했다. 일본인으로 국한하면 27년 연속 전입 초과 기록이다.
반면 일자리 선택지가 부족한 지방은 취업난에 22개 도와 현에서 유출이 확대됐다. 2021년 9개에서 두 배 이상 불어난 규모다.
2021년만 해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로 원격 근무가 늘면서 수도권으로 유입되는 규모가 크지 않았지만, 최근 다시 출근하는 추세로 바뀌면서 지방 인구 유출도 심화하는 양상이다. 일본 생산성본부에 따르면 2020년 5월 32%였던 원격 근무 실행률은 지난해 7월 16%까지 줄었다.
수도권 집중화는 일본에선 중장기적인 추세다. 1991년 버블 붕괴나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등 불황기에 인구가 일시적으로 지방에 분산했다가 곧 돌아오는 현상이 반복했다.
‘도쿄의 미래전략’을 집필한 이치카와 히로오 메이지대 명예교수는 “경기불황에 도쿄에서 노동력 수요가 줄면 현지(거주지)에서 일하는 것을 선호하는 사람이 늘어나지만, 경기가 회복해 도쿄의 고용 능력이 개선되면 많은 사람이 도쿄로 간다”며 “앞으로도 한쪽으로 치우치는 현상은 가속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코로나19 대유행 당시 수도권과 연결된 츠쿠바 익스프레스(TX)가 지나는 교외 지역으로 인기를 끌었던 이바라키현에서도 2021년부터 전입 초과 인구가 급감하기 시작했다. 이바라키현의 정책기획부 관계자는 “도쿄로의 복귀가 시작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도쿄도는 노동력이 모이는 만큼 의료나 교육에서도 고품질 서비스가 집중되지만, 지방은 그러지 못하기 때문이다. 이런 이유가 축적될수록 지방 이주를 촉진하려는 당국의 노력은 더 어려워지는 상황이다.
지자체들도 거주민 잡기에 분주하다. 인구 유출이 계속되는 미에현은 지난해를 ‘인구 감소 대책 원년’으로 지정하고 전략기획부 내에 인구감소대책과를 설치했다. 자동차산업을 중심으로 제조업에 강한 아이치현은 여성 주민 유출을 막기 위해 이들에 대한 취업 지원을 강화하고 있다.
한편 수도권으로의 쏠림 현상은 경제적 부작용 우려 외에 지진이나 후지산 분화 등 재해에 약하다는 위험도 안고 있다고 닛케이는 지적했다. 그동안 전문가들은 수도직하지진이나 후지산 분화 등 대형 재해 가능성을 경고해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