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사, 매달 PF 현황 금융당국에 보고하지만…업계 “이번에 조사량 많아”
금감원, 금융사별 유동성 리스크 초점…‘흑자도산’ 가능성 우려도 중점
18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금감원은 지난 2월 말부터 3월 말까지 한 달여간 증권사를 대상으로 부동산PF 전수조사를 실시했다. 제출 자료 목록에는 부동산PF 사업의 대주단 구성, 공정률, 착공여부, 분양률 등 세부적인 항목을 포함한 것으로 알려졌다.
증권사들은 매달 금융위원회와 금감원에 부동산PF 현황과 관련한 자료를 제출한다. 그러나 자료 제출에 강제성은 없다. 이번 전수조사는 그간 자료 제출 과정에서 누락된 것은 없는지 살펴보기 위한 과정으로 해석되고 있다. 더욱이 이달 부동산PF 대주단 협의체 출범을 앞두고 사업장별 위험 여부를 파악하고자 평상시보다 더 구체적인 자료를 확보한 것으로 보인다.
증권업계 부동산PF 관계자는 “전수조사를 한 번씩 받긴했는데 자료 요구량이 이번 만큼 많았던 적은 처음”이라며 “금융당국에서 매달 PF 현황을 등록하라고 하는데 강제성은 없다 보니 파편화된 자료를 다시금 취합해 전체적으로 확인하려는 취지로 이해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최근 부동산PF 상황은 안 좋다고 보고 있다”며 “브릿지론에서 부동산PF로 넘어가지 않다보니 돈이 돌지 않아 중간에 막히는 곳이 생기고 있어 버티고 있는 시공사들이 무너지는 상황을 우려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금감원은 전국 5000여 곳의 사업장을 모니터링 중이다. 이복현 금감원장은 최근 “5000곳 가운데 300~500곳을 중요 관리 대상 사업장으로 지정했다”며 “해당 사업장의 경우 세밀한 관리를 통해 시스템 위험을 초래하지 않도록 관리를 해야 한다는 의미에서 챙겨보고 있다”고 언급했다.
금융당국은 금융사별 유동성 리스크를 주요하게 살펴보고 있다. 부동산별PF 연체율보다 예상치 못한 상황에서도 자금 위기를 견딜 수 있는 현금 동원 능력이 지금으로서는 더 중요하다는 판단에서다. 최근 금감원이 윤창현 국민의힘 의원실에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작년 말 기준 증권사의 부동산PF 대출 연체율은 10.38%로 작년 9월말(8.16%)보다 2.22%포인트(p) 상승했다. 증권사의 연체율 수준은 △은행 0.01% △보험 0.60% △저축은행(2.05%) △여신전문 2.20%보다 월등히 높았다. 그러나 연체율보다 유동성 능력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는 것이다.
금감원은 올초 금융투자업계 감독·검사 방향을 발표할 때 ‘자금시장 경색 시 자금 미스매치를 최소화 할 수 있도록 증권사 유동성 규제체계 정비’를 건전성 감독제도 개선안에 담았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작년 말에 회사별로 스트레스테스트를 할 때 가장 보수적인 상황을 가정했다”며 “현재 가장 위험한 것은 유동성 문제이고, 흑자도산을 면하기 위해서는 유동성이 중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