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작용 없고 중독 문제도 없다…‘비마약성’ 진통제 개발 각축

입력 2024-04-04 05: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옥시코돈’ 중독성에 오남용 문제 심화…‘오피란제린’ 식약처 심사 중

의료용 마약류 오남용 문제가 지속되면서 ‘비마약성 진통제’가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국내 기업들의 개발 경쟁이 한창이지만 아직 정식 허가된 사례는 없어, 어떤 기업이 시장을 선점할지 주목된다.

3일 제약·바이오 업계에 따르면 현재 국내 중증·암성 통증 완화를 위한 의약품은 마약성 진통제가 지배적이다. 글로벌 기업 먼디파마가 공급하는 ‘옥시코돈’ 성분의 주사제와 경구제가 대표적이다. 이들은 중독성이 있고, 과도하게 투약할 경우 호흡 억제와 의식 불명 등의 치명적인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다.

의료용 마약류 오남용 문제도 심화하고 있어 대체재의 필요성이 부각되는 상황이다. 실제로 지난달 식품의약품안전처가 경찰청 및 지자체와 병원·약국·동물병원 등 마약류 취급자 356곳을 합동 점검한 결과, 마약류관리법 위반사항이 확인됐거나 위반이 의심되는 149곳을 적발했다. 본인에게 11개월간 옥시코돈을 총 960정을 처방한 의사가 수사 대상에 오르기도 했다.

현재 비마약성 진통제 연구·개발 완주를 앞둔 기업은 비보존제약이다. 자체 개발한 후보물질 ‘오피란제린’의 임상 3상을 마치고 지난해 11월 식약처에 품목허가를 신청했다. 오피란제린은 통증 신호를 전달하는 ‘세로토닌 수용체 2A’와 ‘글라이신 수송체 2형’을 동시에 억제하는 기전이다. 중추신경계와 말초신경계에서 다중 타깃을 억제해 진통 효능을 발휘한다.

오피란제린은 국내 임상 3상에서 효과성과 안전성을 입증했다. 복강경 대장절제 수술 후 통증 환자 285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한 결과, 오피란제린 투약군이 위약군과 비교해 평균 35% 높은 통증 감소 효과를 경험했다. 투약 후 발생한 이상 사례는 구토와 메스꺼움 등 대부분 경증이었고, 발생 빈도 역시 위약군과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비보존제약은 국내 출시를 위한 준비도 한창이다. 이날 보령과 국내 상업화를 위한 파트너십 계을 체결했다. 비보존이 오피란제린을 완제품 형태로 보령제약에 공급하고, 양사가 유통과 판매 역할을 분담해 협력하기로 했다. 비보존의 약물중치료제 등 후속 파이프라인에 대한 보령의 투자와 기술이전 등도 논의할 예정이다.

올리패스도 후보 물질 ‘OLP-1002’를 개발 중이다. OLP-1002는 통증 신호 전달 역할을 하는 ‘Nav1.7’ 단백질을 발현시키는 유전자 ‘SCN9A’를 억제하는 원리로 통증을 완화한다. 올리패스는 향후 기술 수출에 대비해 중국, 미국, 일본, 호주 등에서 해당 물질에 대한 특허를 취득했다.

다만, 올리패스는 애초 목표에 못 미치는 임상 결과를 공개해 시장의 기대감이 꺾인 분위기다. 지난해 11월 발표한 OLP-1002의 호주 임상 2a상 결과에 따르면, 59명의 관절염 통증 환자 가운데 OLP-1002 투약군보다 위약군의 통증 감소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OLP-1002가 위약보다 효과가 작았다는 의미다.

이 밖에도 메디포럼과 대웅제약 등이 개발 초기 단계에 있다. 메디포럼은 천연물질에 기반을 둔 비마약성 암성통증 치료제 ‘MF018’을 개발 중이다. 이는 계피 추출물의 유효 성분인 ‘신남산’을 활용해 신경병증성 통증에 관여하는 ‘글리아 세포’ 활성화와 염증성 사이토카인을 억제하는 기전이다. 대웅제약은 자회사 아이엔테라퓨틱스를 통해 비마약성 골관절염 통증 치료제 ‘iN1011-N17’을 개발 중이다.

비마약성 진통제 개발 경쟁은 점차 치열해질 전망이다. 국내외에서 중독과 부작용 위험이 없는 진통제 수요가 증가하고 있어서다. 한국보건산업진흥원에 따르면 글로벌 비마약성 진통제 시장은 지난 2022년 29조 원으로 파악됐으며, 오는 2030년까지 3배 이상 성장해 100조 원 규모를 형성할 것으로 예상된다.

새로운 진통제 옵션에 대한 치료 현장의 기대감도 크다. 한 대학병원 마취통증의학과 교수는 “중증, 암성 통증은 강도가 높아 어쩔 수 없이 마약성 진통제에 의존해야 하는데, 마약성 진통제는 한번 투약하기 시작하면 그보다 효과가 약한 비마약성 진통제로 돌아가기 어렵다”라며 “중독성 이슈에서 자유로운 진통제가 상용화한다면 임상 현장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