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DP 대비 100% 경계’ 가계대출, 석 달만에 다시 증가 전환 [종합]

입력 2024-05-13 15:13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전 금융권 가계대출 4조1000억 증가…6개월來 최대폭
은행 가계대출 5조1000억 증가 전환…4월 기준 역대 세 번째로 커
제2금융권 가계대출은 1조 감소…1년 6개월째 감소세 이어져
명목 GDP 대비 가계대출 비율 이목…금융당국 “성장률 내 관리”

▲서울·인천에 이어 경기도 화성시에서도 잇따라 전세사기가 발생하고 있는 20일 경기도 화성시의 한 공인중개사 사무소 문이 굳게 닫혀있다. 이 공인중개사 사무소는 253채 오피스텔 소유 임대인이 전세 계약을 위탁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날 금융당국은 전세 사기 피해자를 대상으로 주택담보대출비율(LTV)과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등 가계대출 규제를 한시적으로 예외 적용하기로 했다. 조현호 기자 hyunho@
가계대출과 주택담보대출이 다시 증가 전환했다. 주택 매매거래가 늘어난 영향을 받았다.

13일 금융위원회가 발표한 ‘가계대출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금융권 가계대출은 전월 대비 4조1000억 원 늘었다. 앞서 2월(-1조9000억 원), 3월(-4조9000억 원) 감소세를 보이다가 증가세로 돌아선 것이다. 작년 10월(6조2000억 원) 이후 6개월 만에 가장 큰 폭이다.

가계대출 증가 전환은 은행권에서 두드러졌다. 같은날 한국은행이 발표한 ‘2024년 4월 중 금융시장동향’을 보면 지난달 은행의 가계대출은 5조1000억 원 증가했다. 1월(3조3000억 원)에서 2월(1조9000억 원)로 증가폭이 축소된 이후 다시 그 폭이 확대됐다. 4월 기준으로는 역대 세 번째로 큰 수치다. 4월 중에서 가계대출이 가장 많이 늘었던 때는 2020년 4월(27조9000억 원)이다.

금융당국과 한은은 은행 가계대출 증가 배경으로 주택담보대출(이하 주담대)을 꼽았다. 지난달 은행 주담대는 4조5000억 원 증가했다. 작년 11월(5조7000억 원)에서 12월(5조1000억 원)로 증가폭이 축소된 이후 5개월 만에 다시 확대됐다.

한은은 “주택 매매거래 증가, 주택도시기금 정책대출 은행 재원 공급분 확대 영향으로 주담대가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지난달 주택도시기금의 구입·전세자금 대출이 은행 재원을 활용한 이차보전 방식으로도 상당 부분 공급됐다는 것이다.

반면 제2금융권의 가계대출 감소세는 1년 6개월째 지속됐다. 지난달 제2금융권의 가계대출은 1조 원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전월(-3조3000억 원)보다 그 폭이 줄었으나 감소 추세는 이어갔다. 2022년 11월(-2조1000억 원)부터 1년 6개월째 감소세를 지속하고 있는 것이다.

제2금융권 중에서 신협·농협·수협·산림·새마을금고 등 상호금융권 대출이 2조1000억 원 감소했다. 반면 카드·캐피탈사 등 여신전문금융회사(6000억 원)와 저축은행(5000억 원), 보험(100억 원)은 신용대출 위주로 전월 대비 모두 증가 전환했다.

한은은 명목 국내총생산(GDP) 대비 가계대출 비율이 100% 경계에 있다고 진단했다. 최근 국제금융협회(IIF)는 올해 1분기 한국의 명목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98.9%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한은은 이달 21일 ‘2024년 1분기 가계신용(잠정)’을, 다음달 5일 ‘2024년 1/4분기 국민소득(잠정)’을 각각 발표한 이후 1분기 기준 명목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 수치를 확인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원지환 금융시장국 시장총괄팀 차장은 “(명목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이) 100% 밑으로 떨어질까, 아니면 오를까에 대한 판단의 경계에 있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100%’이란 숫자에 의미를 부여하는 것보다 흐름을 보는 것이 더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원 차장은 “(명목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이) 100% 이상이냐, 이하냐에 대해서 경제적인 학계 등에서 공론화되는 숫자라기보다 ‘100’이란 숫자는 상징적인 의미가 있다”며 “100% 이상, 이하냐보다 명목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이 꾸준히 안정적인 범위 내에서 하락하는 추세로 있느냐 없느냐 흐름을 보는 게 중요하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금융당국은 가계대출이 GDP 증가율 내에서 관리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금융위 관계자는 “금리 하락에 대한 기대감 지속, 주택시장 회복 가능성 등으로 인해 향후 가계대출 증가요인을 면밀히 모니터링하며 가계부채를 명목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이내로 관리해 나갈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